컴퓨터구조 18

컴퓨터구조 - 주기억장치의 종류

주기억장치의 종류 반도체 기억장치 - 디지털 시스템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에 널리 사용 - RAM : 저장 위치에 상관없이 같은 시간에 접근이 가능 - 휘발성인 read/write RAM과 비휘발성인 ROM(read only memory) ①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조 기억장치의 용량 - 기억장치의 가로 길이 : 워드, 길이는 m비트 - 기억장치의 세로 길이 : 워드의 개수, 2의 n승개 기억장치 주소 레지스터 (MAR) - 기억장치에 접근할 때 필요한 워드의 주소를 임실 저장하는 장치 - 2의 n승개의 워드의 주소를 표현하려면 n비트가 필요 기억장치 주소 레지스터 (MBR) - 기억장치와 CPU 등의 외부장치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 - 워드 단위로 데이터를 입출력하므로 m..

컴퓨터구조 2020.04.24

컴퓨터구조 - 파일시스템

파일시스템의 개념 파일은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등과 같은 정보들의 집합을 말한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쉽도록 유지, 관리하는 방법이다. 저장매체에는 많은 파일이 있으므로, 이러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파일의 이름을 정하고 저장, 검색을 위해서 어디에 위치 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구성한 시스템이다. 데이터가 증가 할수록 저장하고 관리하는 파일의 수 또한 증가하게 되어 별도의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여러 파일들은 각자 고유한 이름을 가짐으로서 구별된다. 사용자 영역이 아닌 커널 영역에서 동작하고 파일을 빠르게 읽기, 쓰기, 삭제 등 기본적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계층적 디렉터리 구조를 가진다. 파일시스템의 구조 파일시스템은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과 실제 데이터가 기록된 ..

컴퓨터구조 2020.04.04

컴퓨터구조 - 주기억장치의 분할

주기억장치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과 시스템 프로그램이 있다. 응용 프로그램 : 실행될 때만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었다가, 수행이 종료되면 다른 프로그램으로 대체되거나 삭제되고 전원이 꺼지면 삭제된다. 시스템 프로그램 : 컴퓨터가 구동을 시작해서 종료될 때까지 주기억장치에 유지 ①시스템 프로그램 영역 - 운영체제가 저장되는 곳을 상주 구역과 비상주 구역을 분류된다. - 상주 구역 : 언제라도 바로 실행될 수 있는 운영체제의 기본적인 기능 저장 자주 사용되는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이 기억되는 곳 - 비상주 구역 : 자주 사용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필요할 때만 보조기억장치에서 인출해 저장 처리가 끝나면 다른 프로그램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구역 ②사용자 응용프로그램 영역 - 일반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곳, 시스..

컴퓨터구조 2020.01.03

컴퓨터구조 - 주기억장치의 이해

주기억장치 실행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서 명령을 제어장치로 하니씩 꺼내서 해독 제어장치 해독된 결과로 제어신호를 만들어 각 장치로 전달하여 동작 주기억장치의 구조와 동작 쓰기 동작 모드 - 입력장치나 보조기억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입력정보가 전달 기록회로 : 입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프로그램 명령과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데이터를 실제로 기억하는 기억소자들로 구성된 기억매체에 전달 제어장치 : 데이터가 저장될 기억소자의 주소를 번지 선택회로에 전달하여 데이터가 저장될 기억소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읽기 동작 모드 - 제어장치 읽기 제어신호를 발생 - 인출될 정보가 저장된 기억소자의 번지를 저장 - 해당 번지에 저장된 내용은 판독회로에서 판독되어 ..

컴퓨터구조 2020.01.03

컴퓨터구조 - 주기억장치

주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와 접근 통신이 가능한 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현재는 필요하지 않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주기억장치로 저장 기억장치의 성능 평가 요소 기억 용량, 접근 시간, 사이클 시간, 기억장치의 대역폭, 데이터 전송률, 가격 등의 요소로 평가 ①기억용량 - 단위는 비트를 기본을 하며, 바이트(byte, 1byte = 8bit), 단어(word)가 있다. ②접근 시간 - 컴퓨터 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걸리는 시간 ③사이클 시간 - 두 번 연속 접근하는 데 요구되는 최소의 시간 ④기억장치의 대역폭 - 기억장치가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 수 또는 저장할 수 있는 비트 수 ⑤데이터 전송률 - 기억장치에서 초당 몇 비트의 데이터가 전송되어서..

컴퓨터구조 2020.01.03

컴퓨터구조 - CPU의 기능과 동작

CPU의 기능과 동작 명령어 인출과 명령어 해독 명령어 인출 :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를 읽어오는 기능 명령어 해독 : 인출된 명령어를 해독 기능 내용 데이터 인출(data fetch) 기능 명령어 실행을 위하여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기억장치 또는 입출력장치에서 그 데이터를 읽어오는 과정이다. 연산 과정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data process) 기능 읽어온 데이터에 대한 산술적 또는 논리적 연산을 수행한다. 데이터 쓰기(data store) 기능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의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기능이다. CPU의 동작 ①처리해야 할 데이터는 주기억장치 RAM에서 인출되고 외부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 레지스터 1번으로 전달된다. ②제어장치는 새롭게..

컴퓨터구조 2019.11.07

컴퓨터구조 - CPU의 논리회로 설계(연산장치)

연산장치 연산될 데이터와 연산한 결과를 기억시킬 레지스터가 필요 연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 레지스터들의 연결 필요 가산기 : 덧셈 누산기(AC) :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 기억장치 버퍼 레지스터 : 데이터 보관 보수기 : 보수를 만듬 상태 레지스터 : 계산 결과의 상태를 점검 ALU에서의 연산 회로 ①산술연산 회로 4개의 전가산기(FA)로 구성된다. 병렬 가산기가 여러 가지 연산을 수행하려면 전가산기의 한쪽 입력단자에 논리회로를 추가 4개의 전가산기(FA)로 구성된다. 선택 신호와 자리 올림 출력 연산 동작 S1 S0 Ci 0 0 0 F = A A를 전송 0 0 1 F = A + 1 A의 증가 캐리를 포함한 덧셈 0 1 0 F = A + B A와 B의 가산 0 1 1 F = A + B + 1..

컴퓨터구조 2019.11.07

컴퓨터구조 - CPU의 논리회로 설계(레지스터)

레지스터의 설계 D 플립플롭은 레지스터를 제작하는 구성 요소 사용 입력 신호 D가 클록 펄스에 동기되어 그댈 출력에 전달 4비트 레지스터 각 플립플롭은 공통의 클록을 가지고 있다. 클록이 플립플롭에 입력될 때마다 4비트의 입력 I0 ~ I3가 저장되며, 출력 측 A0 ~ A3은 저장된 값을 참조 레지스터의 전송 ①레지스터 간 전송 직렬 전송 방식 - 1비트씩 이웃한 플립플롭 회로로 이동하고 가장 끝의 플립플롭은 또 다른 레지스터의 플립플롭을 전송 - 이동 레지스터(shift register)라고 한다. - 전송하는 레지스터의 내용을 보존하려면 직렬 출력을 다시 직렬로 입력하여 모든 비트가 원래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 병렬 전송 방식 - 레지스터에 기억된 전체 내용을 하나의 제어신홀 다른 레지스터에 동시에..

컴퓨터구조 2019.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