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Python 23

Python_numpy 함수

# numpy 배열 생성 # (2.5)의 크기를 갖는 배열 생성 #1~9까지의 랜덤한 값을 갖는 배열 arr2 = np.random.randint(1,10,size = (2,5)) # 함수 사용하기 # sum(axis = ), "axis" 축 의미 (mean()함수와 사용방식이 같음) => 2개 이상의 값이 필요 # axis = none: 기본값, 전체를 한번에 계산 # axis = 0: 1차원끼리 계산, 세로 방향으로 계산 # axis = 1: 2차원끼리 계산, 가로 방향으로 계산 print(np.sum(arr2, axis=0)) print(np.sum(arr2, axis=1)) # abs() : 절대값 구하기, sqrt(4)=2 : 절반값 구하기 => 1개 값만 필요함 print(np.sqrt(arr..

언어/Python 2022.06.20

Python_numpy

numpy 이해하기 1. numpy 모듈 사용하기 # numpy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 numpy를 np라고 부르기 import numpy as np # 1차원 array 생성하고 list1 = [1, 2, 3, 4, 5] arr1 = np.array(list1) arr2 = np.array([1, 2, 3]) arr1.sum(0) # 2차원 array 생성하기 list2 = [[1,2,3], [4,5,6]] arr2 = np.array(list2) # 배열의 크기 확인 # shape list2 = [[1,2,3], [4,5,6]] arr2 = np.array(list2) arr2.shape # 배열의 전체 요소 개수 확인하기 # size arr2.size # 배열의 차원 확인하기 # ndim print..

언어/Python 2022.06.17

Python_딕셔너리

Dictionary란? -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사전이라는 뜻 - "peolpe" 이라는 단어는 "사람", "baseball" 이라는 단어는 "야구" 에 부합되듯이 key와 value를 한쌍으로 갖는 자료형 - 딕셔너리 타입은 immutable란 key와 mutable한 value로 맴핑되어 있는 순서가 없는 집합 - 딕셔너리명 : { Key : Value, Key : Value, Key : Value, .... } key에는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고, value에는 변하는 값과 변하지 않는 값 모두 사용할 수 있다. 1. 딕셔너리 이해하기 # 딕셔너리 생성하기 person = {'이름' : '홍길동', '나이' : '100', '전화번호' : '0101234567' } # value 값 가져오는 방법..

언어/Python 2022.06.16

Python_for문

1. for문 이해하기 s1 = '안녕하세요' for i in s1: print(i) 1) 개행없이 출력하는 end 속성 s2 = '안녕하세요' for i in s2 : print(i, end='') [예제 1번] score_list = [90, 45, 70, 60, 55] cnt = 0; for i in score_list: cnt += 1 if i >= 60: print(f'{cnt}번 학생은 합격입니다.') else: print(f'{cnt}번 학생은 불합격입니다.') 2) .index(i)를 사용할 경우 같은 숫자 있으면 중복되어 출력됨 (값 중복이 없을때 사용해야 함) 2. range() 함수 이해하기 # range() 매개변수가 3개 일때 (시작값, 끝값, 증감량) for i in range(..

언어/Python 2022.06.16

Python_반복문

반복문이란? - 프로그램 내에서 똑같은 명령을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문 - 반복문 종류는 while문, for문이 있다 # 숫자를 입력받아 10보다 큰 수가 나오면 반복문을 종료하는 프로그램 작성 # 1번째 방법 num = 0 while num 10: break; print('프로그램 종료') [예제 1번] while True : num1 = int(input('첫번째 정수 입력>> ')) num2 = int(input('첫번째 정수 입력>> ')) if num1==0 and num2==0: break; print('두 정수의 합: ', num1+num2) print('프로그램이 종료되었습니다.')

언어/Python 2022.06.15

Python_튜플

튜플이란? - 파이썬의 자료구조 형태 중 하나 - 순서가 있는 집합 - 소괄호로 작성되어지고, 튜플의 내부 값은 콤마(,)으로 구분 - 추가, 수정, 삭제 불가능 1. 튜플 생성 #튜플 생성: 튜플명 = (요소1, 요소2, 요소3,,,,,) tu1 = (1, 2, 3) tu2 = 1, 2, 3 tu3 = 'a', 'b', 'c' tu4 = (1, 2, 'a', 'b', 'c') tu5 = (1, 2, ('a', 'b', 3)) tu6 = (4) #이건 튜플이 아니라 int타입 tu7 = (4,) print(len(tu1)) print(tu1) print(tu2) print(tu3) print(tu4) print(tu5) print(tu6) #이건 튜플이 아니라 int타입 print(tu7) 2. 리스트와..

언어/Python 2022.06.15

Pyhton_리스트

1. 리스트 - 파이썬의 자료구조 형태 중 하나 - 순서가 있는 수정간으한 객체의 집합 - 대괄호로 작성되어지며, 리스트 내부의 값은 콤마(,)으로 구분 #리스트 생성 #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요소4, .....] list1 = [] #어떤리스트가 들어가있는지 모를때 비어있는 대괄호 사용 print(type(list1)) print(len(list1)) print(list1) list2 = [1, 2, 3] print(list2) list3 = ['a', 'b', 'c'] print(list3) list4 = [1, 2, 3, 'a', 'b'] print(list4) list5 = [1, 2, ['a', 'b', 3]] print(list5) 2. 인덱싱 & 슬라이싱 1) 인덱싱 #인..

언어/Python 2022.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