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0

XHTML - 08. 문단 요소

1. 문단 요소 - 제목 • 제목 ~ – 대제목, 중제목, 소제목등 – h1, h2, h3, h4, h5, h6 – 잘 구성된 제목은 기기에서의 정보 인식성에 효과적 – 디자인 상생략된 헤딩 요소를 콘텐츠의 특성에 맞게 마크업할 때 작성하면 순차적으로 정보에 접근하는 시각장애인에게 도움이된다. – 화면에 헤딩요소가 표시되어 디자인상 문제가 되는 부분은 CSS를 이용하여 숨길 수 있다. 대제목 중제목 소제목 소소제목 소소소제목 소소소소제목 2. 문단 요소 - 단락 • 단락 – 텍스트를 단락으로 정의할 때 – a, img 등 인라인 요소와 텍스트만 포함 – 블록 요소는 사용할 수 없다 단락요소 p태그는 텍스트를 단락으로 정의할 때 사용한다. 3. 문단 요소 - 줄바꿈 • 줄바꿈 – 단락에서 강제로 줄바꿈할 ..

XHTML.CSS 2019.09.21

XHTML - 07. XHTML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

1. 블록 요소(Block element) – 독립적인 형태의 상자 – 줄 바꿈이 일어나는 형태 – H1~h6, p, div – 인라인 요소, 텍스트, 또 다른 블록레벨 요소를 포함 블록 요소 p 요소는 블록 형태입니다. div 블록 형태입니다. h1 블록 요소 p 요소는 블록 형태입니다. div 블록 형태입니다. 2. 인라인 요소(inline element) –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는다 – 블록 상자 안의 일부 – a, img, em, strong, span – 블록 요소를 포함할 수 없다 – 반드시 블록 레벨 요소에 포함시켜 표현 strong 태그 입니다. 링크로 연결되는 a태그입니다. span 태그입니다. h1 블록 요소 p 요소는 블록 형태입니다. div 블록 형태입니다.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

XHTML.CSS 2019.09.19

컴퓨터구조 - 04. 비트, 바이트, 워드

비트 - 'binary digit'에서 bit로 축약하여 부르는 용어로 2진법을 지원. 비트 - 비트당 사용 가능한 2진수의 조합을 2n이고, n은 비트의 수다. 비트 수 사용 가능한 2진수 조합 비트 수 사용 가능한 2진수 조합 1 2 5 32 2 4 6 64 3 8 7 128 4 16 8 256 바이트 - 정보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비트의 집합 바이트 - 8비트를 1바이트로 규정 워드 - 일반적으로 32바이트(4바이트)가 가장 많이 쓰임 워드 -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컴퓨터구조 2019.09.16

컴퓨터구조 - 01.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

1. 하드웨어 -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로 분류 1-1 중앙처리장치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 컴퓨터 시스테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로 - 입력장치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한 후 출력장치와 기억장치로 보내는 과정 - 컴퓨터의 두뇌 - 제어장치, 산술논리연상장치, 제어장치로 구성 1-1-1 제어장치 (control device) - 내부에서 일어나는 작업을 통제하고 관리 - 적절한 순서로 명령어 인출 - 명령어를 해석 - 제어신호를 전달 1-1-2 산술논리연산장치 (ALU : arithmetic logic unit) -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 - 산술연산 : 덧셈, 뺄샘, 곱셈, 나눗셈 등의 사칙연산을 수행 - 논리연산 : 참과 거짓을 판결하는 연산..

컴퓨터구조 2019.09.16

XHTML - 06. XHTML요소

1. 문자 코드 세트와 문서 정보(meta) • 문자코드세트지정하기 – utf-8 : 유니코드. 전세계의 모든 문자를 표현. 국제적인 코드 규약 – euc-kr : 2,350개의 한글 문자, 한국에서 통용되는 한자, 영문. • 문서정보-키워드 – 웹페이지 홍보의 수단으로 검색 키워드 지정 • 문서정보-그외정보 – 웹페이지 홍보의 수단으로 검색 키워드 지정 2. 문서 제목 • 웹문서의 제목을 선언 – 문서마다 유일한 내용으로 구성 – Title요소는 문서를 구별할 수 있는 첫번째 관문 – 즐겨찾기 및 북마크에 해당 웹문서를 추가 할 경우에 사용되는 북마크 이름 기본세팅완료!

XHTML.CSS 2019.09.15

XHTML - 05. 네임 스페이스(namespace)

네임 스페이스(namespace) • XHTML은 HTML을 XML로 재정의한 언어이기 때문에 XML이 가지는 확장성을 이용하여 다른 XML 형식의 문서 표준을 네임스페이스(xmlns)를 이용하여 지원 • HTML을 XML로 재정의한 언어인 XHTML은 위과 같이 정의 • 내부 식별자에 사용될 수 있는 유효 범위를 제공하는 선언적 영역을 의미 • 파일은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는 일종의 컨테이너다. • 네임스페이스는 함수 뿐만 아니라 클래스와 상수에 대해서도 사용

XHTML.CSS 2019.09.15

XHTML - 04. 문서형 정의 및 선언 (DTD: Document Type Definition))

문서형 정의 및 선언의 특징 1. 마크업 문서는 첫 머리에 문서형 정의을 선언 2. 문서형 정의는 문서의 요소와 속성 등을 어떤 규칙에 따라 기술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 3. 브라우저 렌더링의 기준 4. 특정 요소의 사용이 제한되거나 규칙이 다르게 적용 5. 크로스 브라우징 환경에서 동일한 문서가 다르게 표현되는 원인 문서형 정의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엄격형(Strict), 호환형(Transitional), 프레임형(Frameset). 1. Strict – 구조와표현을분리하기위해단계적으로사라질‘표현’에관현요소와속성을배제한엄격한문서타입 – Center, font, iframe, strike, u 등의요소와target 속성이제한 2. Transitional – 예전문서와strict DTD 중간단계로설정한문..

XHTML.CSS 2019.09.15

XHTML - 03. XHTML 구성 요소/기본 구조

XHTML의 구성 요소에는 1. 태그(tag) - 로 묶어서 표현하는 명령어. 시작, 종료 태그. 2. 요소(element) - 시작태그부터 종료태그까지의 모든 명령어 집합. 3. 속성(attribute) - 태그의 의미와 필요에 따라 가지는 개별적인 옵션. 공백으로 구분. 4. 값(value) - 속성이 가지는 값 XHTML p태그 입니다. 링크이동(네이버) XHTML의 기본 구조는 1. – 문서형 정의 선언. 엄격형(Strict), 호환형(Transitional) 등 2. - 웹페이지의 시작과 종료 / 머리부분과 본문부분 3. body를 입력하는 공간입니다.

XHTML.CSS 2019.09.15

XHTML - 01. XHTML이란

1. XHTML = HTML + XML XHTML은 순차적 마크업과 서술적 마크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장단점과 정의, 예시를 알아봅시다. HTML 순차적 마크업(procedural markup) 1. 데이터, 구조, 표현 정보가 저장 2. 시각적으로 표현 3. 폰트, 색상, 여백, 줄 간격 등의 추가 정보 4. HTML이 대표적인 ‘순차적마크업’ 5. 특정 응용프로그램에서 올바르게 문서를 표현 6. 표현정보가 불필요한 경우에도 정보를 가지고 있음 안녕하세요! 순차적 마크업의 예시입니다. 매일매일 코딩 공부하자!

XHTML.CSS 201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