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Python

Python_연산자_산술, 지수, 대입, 비교

asu2880 2022. 6. 10. 17:48

1. 연산자의 종류

 

2. 산술연산자

1) 숫자 나누기

- "/" 연산자는 정확히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소수점 15자리 까지 출력

- "//" 연산자는 소수점 이하의 수를 모두 버리고 몫만 나타낼 때 사용

- "%" 연산자는 나머지를 구할 때 사용

#숫자 나누기
num1 = 10
num2 = 7

print(num1/num2)
print(num1%num2)
print(num1//num2)

 

2) 문자열 더하기

- 파이썬은 문자열을 더하거나 곱할 수 있다.

- 파이썬의 장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문자열 더하기
str1 = '안녕'
str2 = '하세요'
print(str1 + str2)

str3 = '10'
str4 = '7'
print(str3 + str4)

 

3) 숫자와 문자열 더하기

- 숫자와 문자열 단순하게 더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 그래서 다음과 같이 수정해야 한다

(1) 숫자에 문자열로 타입을 변환시켜 "문자열(숫자) + 문자열"로 더해줘야 한다

(2) 문자열을 숫자 타입으로 변환시켜 "숫자(문자열) + 숫자"로 더해줘야 한다

#숫자와 문자열 더하기
num1 = 10
str5 = '7'
# print(num1 + str5) => 에러발생

print(str(num1) + str5)
print(num1 + int(str5))

 

[예제 1번]

num1 = 23
num2 = 3
result1 = "더하기 결과:  {}".format(num1+num2)
result2 = "빼기 결과:  {}".format(num1-num2)
result3 = "곱하기 결과:  {}".format(num1*num2)
result4 = "나누기 결과:  {}".format(num1/num2)

print(result1)
print(result2)
print(result3)
print(result4)

 

[예제 2번]

time = int(input("시간 입력>>  "))
hour = time // 3600
minute = (time - hour*3600) // 60
second = time - ((hour*3600) + (minute * 60))
print("{}시간 {}분 {}초".format(hour, minute, second))

 

3. 지수 연산자

- 정수형 상수의 표현 범위는 제한 없음

- CPU 레지스터로 표현할 수 있는 크기보다 큰 정수를 다룰 때는 연산 속도 느려짐

#지수연산자(**)
num = int(input('정수 입력>>  '))
power = int(input('지수 입력>> '))
print('{}의 {}승은 {}입니다.'.format(num, power, num**power))

 

4. 대입 연산자

- 대입연산자와 복합 대입 연산자로 구분되어지는데,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1) 대입 연산자

num = 27
num += 3
print(num)

 

2) 치환하기

#치환하기
num1 = 15
num2 = 3
print(num1, num2)

temp = num1
num1 = num2
num2 = temp
print(num1, num2)

num1, num2 = num2, num1
print(num1, num2)

 

5. 비교 연산자

#비교연산자
a = 3
b = 7
print(a < b)
print(a >= b)
print(a == b)
print(a != b)

728x90
반응형

'언어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_반복문  (0) 2022.06.15
Python_튜플  (0) 2022.06.15
Pyhton_리스트  (0) 2022.06.15
Python_조건문  (0) 2022.06.15
Python_연산자_논리, 삼항  (0) 2022.06.15